Korean
KOFIH와 보다
약의 기원
부작용 & 다른 약과 상호작용 걱정 없는
해열진통제의 대명사, 타이레놀
모든 것의 역사는 전혀 의외의 상황에서 시작된다. 타이레놀의 시작 역시 다르지 않다.
타이레놀은 어떻게 해열진통제의 대명사가 되었을까.

- 글. 정승규 약사(<인류를 구한 12가지 약 이야기> 저자)
말라리아 치료제로 시작된 인공염료 시대
파란색은 하늘과 천국을 상징하는 색으로 오래전부터 순수한 정신과 신앙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다. 서양 중세 화가들은 성모 마리아를 고귀하게 보이기 위해 파란 망토를 걸친 모습으로 그려 순결한 이미지를 나타냈다. 푸른 색깔은 좋지만, 가격이 너무 높다는 것이 문제였다. 자연에서 파란색은 아주 드물고 가격이 터무니없이 비쌌다. 의뢰인이 보수를 두둑하게 주지 않으면 화가는 푸른색을 사용할 수 없었다. 머나먼 아프가니스탄에서 채굴된 라피스 라줄리(청금석)를 갈아 색을 낼 수 있었는데 이것을 울트라마린이라고 한다. 울트라마린은 금과 같은 가치를 지닐 만큼 귀했다.

염료는 색깔을 만드는 기술이다. 신기하게도 염료 제조 기술은 신약개발과 관련 있다. 제국주의 세력이 팽창하면서 아프리카, 아메리카, 아시아 열대지방에서 만난 복병이 말라리아다. 유일한 치료제는 안데스 고산지대에서 재배한 키나 나무의 껍질 키나피였다. 남미 국가들은 키나피를 독점하고 수출을 제한했기 때문에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1820년 프랑스 과학자들에 의해 키나피에서 말라리아 치료제 퀴닌이 추출되었다. 화학이 발달하면서 천연물에서 유효성분을 선별해 약효가 있는 물질을 분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19세기 중반에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퀴닌을 인공적으로 합성하려는 시도가 일어났다. 구하기 힘든 키나피 없이 퀴닌을 얻기 위한 방편이었다. 하지만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퀴닌을 만들기는 쉽지 않았다. 대신 퀴닌을 만드는 과정에서 우연히 인공염료가 개발되었다. 목표로 한 퀴닌 제조에는 실패했지만, 석탄의 부산물 콜타르에서 보라색 염료가 발견된 것이다. 탄소와 수소로 이뤄진 유기화합물이 콜타르인데 여기서 여러 가지 색을 얻을 수 있었다. 인공염료 시대가 열린 것이다.

산업폐기물을 이용해 만든 해열진통제
콜타르에서 시작한 혁신은 파란색에도 파급되었다. 당시 파란색은 인도에서 생산되는 ‘인디고페라’라는 콩과식물을 가공해 얻었다. 인디고(indigo)는 남색 혹은 쪽빛을 의미하는데 ‘인도에서 왔다’라는 뜻을 가진다. 1878년 독일 화학자 아돌프 폰 베이어는 콜타르에서 인디고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독일 화학회사는 굉장히 낮은 가격에 인디고를 생산해 세계시장을 석권할 수 있었다.

1863년 설립된 바이엘(Bayer)의 창업자 프리드리히 바이엘은 원래 비단 상인이었다. 바이엘은 비단을 염색하는 색소에 관심이 많았다. 그는 값싼 염료를 이용해 옷감을 염색한 후 판매했다. 옷감 판매 수익 대부분을 연구개발비로 다시 투자해 주식회사로 성장한 바이엘은 1888년 중대한 발견을 하게 된다. 염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산업폐기물 아닐린을 활용해, 해열진통제 페나세틴을 개발한 것이다.

이 약은 대박을 터트렸다. 1889~1892년 사이 독감이 세계적으로 유행하자 해열진통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었기 때문이다. 열이 나고 몸살이 생기면 페나세틴을 먹었다. 나중에 신장 부작용이 발견되어 퇴출당했지만, 페나세틴은 바이엘이 황금알을 낳는 제약산업으로 이행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뒤이어 아스피린이 나오면서 바이엘은 거대 기업으로 성장했다. 기존 진통제와 비교해 속쓰림이 적은 아스피린은 세계를 휩쓸었다. 머리가 지끈지끈 아프고 열이 날 때 아스피린 1알만 삼키면 고통이 씻은 듯이 사라졌다. 뜻하지 않게 염료는 유기화합물을 정밀하게 합성하는 제약산업으로 진화했다.

해열진통제를 대표하는 약, 타이레놀
해열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은 미국에서 최초로 합성되었다. 하지만 당시는 페나세틴의 인기가 높아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1947년 아세트아미노펜은 페나세틴의 대사물질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페나세틴은 간에서 대사되어 아세트아미노펜이 된다.

1955년 미국에서 처음 판매된 아세트아미노펜은 위궤양을 일으키지 않는 해열진통제로 광고되었다. 아세트아미노펜이 들어간 가장 유명한 상품이 타이레놀(Tylenol)이다. 타이레놀은 부작용이 적고 다른 약과 상호 작용이 거의 없어 큰 인기를 끌었다. 1980년대에는 아스피린 판매를 능가했고 현재는 해열진통제를 대표하는 약이 됐다.

타이레놀은 페나세틴이 원조인데 옷감을 물들이는 염료에서 출발한 점이 흥미롭다. 염료에서 뜻밖의 신약이 탄생했듯이 현재 우리가 추구하는 것이, 훗날 무엇으로 바뀔지 지금은 알지 못한다. 어찌 알겠는가? 오늘 하는 일이 훗날 화려한 보석이 될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