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KOFIH와 보다
환경+
‘곧 다가올 미래’
만약 꿀벌이 사라진다면?
꿀벌의 멸종은 단순히 그 사실에서 그치지 않는다. 그 원인을 찾아가다 보면 기후변화와 식량위기, 보건의 위기를 넘어 인간 생존의 위기라는 위협적인 벽과 마주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위협은 현재진행형이다.

- 글. 김장락 교수(경상국립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진주기후위기비상행동 공동대표)
이주능력 떨어지는 꿀벌에게 이상기온은 독약
세계적으로 꿀벌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꿀벌이 사라지면 과일, 채소, 견과류 등의 생산 감소로 다수의 사람들이 기아로 사망할 수 있다. 식량 고갈과 식물이 사라지는 지역의 사막화 진행으로 결국 인간의 생존도 위협받는다. 왜 꿀벌이 사라지는가? 원인으로는 농약 등 화학물질, 전염병 등이 거론되고 있으나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상기온이 가장 유력하다. 급격한 기후변화로 서식지가 줄게 되었지만 꿀벌은 빠른 속도로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는 적응 능력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기후변화가 꿀벌의 위기를 초래한 것이다. 기후변화는 장기간에 걸쳐 뚜렷하게 나타나는 날씨의 변동이며 지구온난화이다. 국제기구인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정부간기후변화협의체)에 따르면 인간 활동으로 인해 지구의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2020년 현재 약 1.1℃ 상승했다.

우리나라 기상과학원은 온난화가 현재 속도대로라면 2030년 전후에 1.5℃ 상승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한다. 2100년까지 기온 상승이 2.0℃까지 진행된다면 생태계, 식량 그리고 보건 시스템에 대한 인간의 적응이 어렵다. ‘찜통 지구’의 악순환에 빠져서 지구 환경이 파국에 이를 수 있다는 위험을 경고하는 연구도 있다. IPCC는 지구 기온의 상승 마지노선을 1.5℃로 보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동물들의 서식지 이동, 보건위기 초래한다.
기후변화는 보건위기이다. 세계보건기구는 2019년 기후변화를 제1의 건강 위협으로 꼽았다. 온난화는 인간의 건강과 질병에 다양한 경로로 폭넓은 영향을 미친다. 현재의 건강 위협이 커질 수 있고 새로운 건강 위협이 나타날 수 있다. 폭염은 열사병이나 탈수, 전해질 장애를 일으킬 뿐 아니라 심장, 호흡기, 뇌혈관 그리고 신장 질환 같은 기존 질환을 악화시키고 사망률을 높인다. 기후변화는 오존이나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 오염과 이에 따른 건강 문제를 일으킨다. 암 발생 위험도 높이는데, 이는 악화되는 대기와 수질의 오염, 자외선 노출 증가, 식량 불안정 그리고 늘어나는 감염 때문이다.

기온 상승으로 인해 식수와 식품에 병원체의 오염이 증가하며, 따뜻한 겨울에는 곤충이나 설치류의 생존이 쉬워 감염병 발생 확률도 높아진다. 우리나라에서도 말라리아,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비브리오장염, 세균성이질이 증가하고 있다. 참진드기매개감염병인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은 고열과 소화기 증상 그리고 혈소판 감소에 따른 출혈성 경향 등을 나타낸다. 우리나라에서 2012년 이후 첫 사례가 보고된 이래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20% 정도의 매우 높은 치명률을 보인다.

온난화와 인간의 개발 행위로 인한 서식지 상실은 동물들의 이동을 강제하여 다른 종의 동물이나 사람과의 접촉 기회를 높여서 병원체를 공유하게 한다. 전문가들이 코로나19 같은 세계적 대유행을 앞으로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예상하는 이유다. 기후변화는 식량위기이다. 평균 기온이 1℃ 상승할 때마다 수확량이 10%씩 감소한다는 것이 경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빈발하는 홍수나 가뭄, 또는 병충해의 창궐은 농작물의 생육을 더욱 어렵게 한다. 쌀의 생산성도 온난화의 진행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류를 ‘먹여 살려온 바다’는 온난화로 기능이 약화되고 있다. 기후변화는 꿀벌을 포함한 생물종의 위기이다. 학자들은 인간의 인위적인 활동에 의해 금세기 내에 전체 생물종의 50%가 멸종한다고 경고한다. 일부 과학자는 지금 지구는 여섯 번째 대멸종을 겪고 있으며 최상위 포식자인 인간도 결국 멸종을 피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줄여나가야 할 석탄 발전, 더욱 절실해지는 재생에너지
IPCC는 인간이 적응할 수 있는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달성이 쉽지 않는 목표를 제시했는데 2050년 이후에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추가로 상승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를 이산화탄소 배출량 순제로(Net Zero) 또는 탄소중립이라고 한다. 소비 전력의 대부분을 재생에너지로 생산해야 하며, 석탄 발전은 전 지구적으로 사라져야 한다는 의미다.

이산화탄소의 흡수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숲과 습지가 보존되고 확대되어야 함은 말할 것도 없다. 기후변화는 생존위기이다. 책임은 전적으로 화석연료를 무분별하게 낭비하고 환경을 마구 파헤친 인간에게 있다. 지구상의 모든 개인, 단체, 사회 그리고 국가가 함께 손잡고 해결해야만 한다. 그 길을 가는 것이 비록 많이 힘들고 불편하더라도 말이다.